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   2025/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라쿤퍼피

(심리학자) 칼 로저스에 대하여 알아보자.(feat. 인간중심) 본문

교육/심리학

(심리학자) 칼 로저스에 대하여 알아보자.(feat. 인간중심)

매쓰라쿤 2024. 10. 23. 14:36
반응형
반응형

1. 칼 로저스

칼 로저스(1902~1987)는 미국 일리노이 주 오크파크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아, 동물 사육에 열중했다. 특히 과학적 농업에 관심이 많아 농과대에 입학하였지만 역사학, 교육심리학, 임상심리학, 철학박사를 거쳐 오하이오 주립대 심리학 교수가 된다.

심리학자 칼 로저스

2. 인본주의 심리학의 대변인

아동지도 연구소에서 인턴을 하며 부적응 아동 및 청소년 상담을 하며 소중한 기회를 갖게 된다. 상담 경험을 통해
(1) 무엇이 상처를 주는지
(2) 어떤 문제가 중요한지
(3) 어떤 경험이 깊이 뿌리 박혀 있는지
(4)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를 아는 사람은 바로 내담자 자신이라는 인식을 분명하게 하였다고 한다.


상담자로서 자신의 영리함, 박식함을 드러내고 싶은 욕구를 없앨 수 있다면, 내담자에 의해 효과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칼 로저스는 교수로 일하며 점점 내담자들과 깊은 치료적 관계를 맺는 법을 배웠고 상담접근이 명확해져 가는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생각이 동양 사상과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노자 사상의 한 구절 ''그는 귀를 기울이는 듯하였다. 그의 깊은 귀 기울임은 고요함 가운데 우리를 감싸고 그 고요함 가운데서 우리는 마침내 우리가 어떤 존재인지 듣기 시작하였다''

 
 

3. 인간중심

 로저스의 심리학은 한 마디로 ''인간중심(Person-centered)''이다. 처음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인종 간의 긴장을 완화하고 세계평화에 힘을 썼기에 노벨 평화상 후보로도 지명되었다.
 
그리고 환자라는 단어 대신 내담자로 명명하며 고통받는 사람들과 적절한 관계를 맺으면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낸다고 주장하였다.
 
비지시적 상담(이후 단어를 내담자 중심치료로 변경)의 개념을 내세웠고 상담자의 온화함과 반응성, 감정이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는 허용성과 어떠한 강압이나 압박을 받지 않는 분위기를 특징으로 한 상담 관계를 중시하였다.

심리 상담


개념

1. 자아: 나는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면서 내린 답이 그 사람의 자기 개념이다.
2. 실현 경향성: 적절한 환경만 제공된다면 스스로 자기를 실현한다.
3. 가치 조건화: 의미 있는 대상으로부터 인정받고 '긍정적 자기 존중'을 얻기 위해 가치 조건화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가치 조건화란 가치가 있고 없음을 규정짓는 외부 조건)


상담기법

1. 공감적 이해: 내담자의 감정에 빠져들지 않으면서 내담자의 감정을 자기 감정인 것처럼 느끼는 것 (공감적 이해를 통해 내담자는 스스로 자유로운 자기 이해, 자기 수용, 참된 성장의 길로 나아간다.)

2.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내담자의 특정 가치 조건에 입각해 판단,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수용, 존중해야 한다.

3. 진실성: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것을 솔직하게 그대로 표현해야 한다(긍정, 부정 모두) - 내담자는 자기와 경험 간의 불일치를 좁힐 수 있다.

목표 :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기실현을 돕는 데 있다.

상담 분야에 큰 공헌을 한 점

1. 상담의 초점을 기법에서 상담관계를 중시하는 쪽으로 바꾸었다.

2. 상담자, 심리학자 그 외 인간 조력 전문가를 훈련하는 데에 경청과 배려,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비판점

1. 내담자가 표현하는 것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내담자의 무의식적인 부분 또는 왜곡 전달에 취약하다.

2. 사용하는 용어의 범위가 넓고 모호하며 이해하기 어렵다.
 
 

4. 첨언

 로저스는 인간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도와주기만 하면 된다고 말한다.
 
 
 언젠가 식사를 하는데 20대 남자 둘이서 막걸리를 마시며 토론을 나누는 걸 엿들었다. 한 남자는 자신이 대기업에 취직하지 못할 것이고 크게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하며 자신을 비판하고 사회를 비판하였다. 좋은 기업에 취직 한 친구를 예를 들며 그 친구보다 내가 더 많이 알고 더 간절한데, 왜 나는 안되냐며 자기를 비판하고 있었다.
 내가 지인이었다면 그 친구에게 뭐라고 말해주었을지 집에 와서 생각하였다. ''왜 남과 비교를 해 너를 더 가꾸어 나가고 발전시켜야지'', ''언젠간 될 거니까 계속 노력해야지'' 등등 여러 생각을 했지만 나 또한 아직 모자라기에 이런 말들이 전혀 도움 되지 않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였다. 혹시 꼰대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을 보며 3가지 공. 무. 진. 을 실천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진실성 3가지를 실천하며 그 사람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많은 학생들도 여러 가지 문제를 겪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학생은 배워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지적하게 되고 학생들을 구석으로 몰아넣게 된다. 로저스에 의하면 공. 무. 진. 을 실천하며 학생 스스로 문제를 깨우치고 해결해 나가도록 도와주는 교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먼 사람들까지 많은 도움을 주고 싶다. 또한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을 실천해 보며 연구해 나간다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