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쿤퍼피
(교육자) 페스탈로치에 대해 알아보자.(feat. 교사의 역할) 본문
1.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1746.1.12-1827.2.17)는 스위스 교육학자, 사상가로 '고아들의 대부'로 불린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 배려를 실천하는 따뜻한 가정환경에 영향을 받아, 어린이 교육에 조건 없는 사랑을 실천하였다.
가정은 도덕상의 학교다
2. 교육의 목적: 인간개혁, 사회개혁
페스탈로치는 인간을 개혁하고, 개혁된 인간이 사회를 개혁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인간성의 계발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발전한다는 것이다. 인간 형성의 기초는 가정교육 즉, 부모 자녀 간 애정이 넘쳐야 탁월한 자연교육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다음 3가지 능력을 계발할 것을 이야기한다.
(1) 머리의 질서(실용적) -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고
(2) 진리 감각(교양적) - 진리에 대한 동경
(3) 정신 체조(훈련적) - 판단력, 추론력의 연습
3. 교육 방법
(1) 합자연의 원리 - 인간 본성에 내재된 힘과 소질을 자연스럽게 개발되어야 한다.
(2) 자발성의 원리 - 스스로의 의지적 노력과 자발적 침여를 통해 인간 본성에 내재된 소질이 발현된다.
(3) 직관의 원리 - 감각을 통해 사물을 직접 경험하고 체험해야 한다.
(4) 조화의 원리 - 인간성 안에 내재된 소질과 능력의 조화로운 발전이 이뤄져야 한다.
(5) 친근 성의 원리 - 교육은 가장 가까운 생활에서부터 점진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6) 노작의 원리 - 교육과 노동의 결합을 통해 교육윽 생활화가 가능하다고 보고 노동을 교육의 방법적 원리로 중요시된다.
4. 첨언
페스탈로치의 사상은 프뢰벨과 듀이의 경험중심 교육이론에 영향을 주게 되었으며 직접적이고 경험적인 교육적 실재를 통해 자신만의 교육원리를 형성하였다.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은 현대인에게 많은 교훈을 주게 된다. 학생들을 지도하다 보면 라떼는 소리가 자주 나오는데 특히 예의 문제, 사람을 무시하는 태도, 이기심이 너무 돋보이며 자발적이고 이타적인 학생이 드물다. 오늘날 아이들을 훌륭한 인격을 갖게 하려면 타인과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고 자기 헌신을 실천할 수 있도록 페스탈로치가 말한 가정에서부터의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이타적인 인간으로 키우고 사회를 개혁할 인재를 만들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깊게 생각하게 된다.
묘비명: 모든 것이 남을 위해서였으며, 스스로를 위해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교육 > 교육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자) 듀이에 대해 알아보자.(feat. 성공적인 교사 조건 4가지) (8) | 2024.10.19 |
---|---|
(교육자) 플라톤에 대해 알아보자.(feat. 부모의 역할) (6)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