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쿤퍼피
(교육자) 플라톤에 대해 알아보자.(feat. 부모의 역할) 본문
1. 플라톤
플라톤은 기원전 428(또는 427) / 기원전 424년(또는 424년)에 그리스 아테네에서 태어나 기원전 348년(또는 347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의 근본이 되는 여러 사상과 개념들을 전파하였다. '플라톤' 이야기에 관심이 있다면 정말 수많은 키워드들을 들었을 것이다.
아래의 세계와 위의 세계, 육체와 영혼, 이데아, 군주론, 동굴, 기하학, 변증술 등등
전공이 철학이 아니어서 플라톤에 관한 개념들을 공부하면서도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플라톤이 이야기했던 ''교육''에 관해서 스스로 공부해 보고자 이곳에 써보겠다.
2. 플라톤이 말한 교육
플라톤은 교육이란 기본적으로
아래의 세계 --> 위로의 세계,
지금 세계 --> 영원한 것들의 세계,
감각적 지각 --> 이성적 사유
로의 전향을 돕는 것이라고 하였다.
교육의 과정은 동굴 밖으로 이끌어 더 높은 수준의 실재를 보도록 인도하는 과정이라 설명한 그는
0~20세: 기초교육, 20~30세: 수학교육, 30~35세: 변증술교육, 35~50세: 실무교육으로 나누어 교육의 체계를 만들었다. (산술, 기하학, 천문학, 화성학, 변증술을 배워야 함을 강조하였다.)
3. 산파술(문답법)
플라톤은 스승인 소크라테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하지만 소크라테스 스스로 저서한 자료가 없고 플라톤에 의하여 소크라테스에 관한 이야기가 전파된다.
특히 소크라테스 대화법=산파술=문답법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일화 하나를 소개하겠다.
소크라테스: 자네는 정의가 무엇이라 생각하나?
트라시마코스: 강자의 이익이 정의입니다.
소크라테스: 강자도 물론 사람이겠지?
트라시마코스: 예. 그렇습니다.
소크라테스: 그럼 강자도 실수를 하겠군
트라시마코스: 네
소크라테스: 그럼 강자의 잘못된 행동도 정의로운 건가?
트라시마코스: ...
얼마 후
소크라테스: 자네 기분이 어떤가?
트라시마코스: 우울합니다.
소크라테스: 우울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크라시마코스: 침울하다는 것입니다.
소크라테스: 침울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트라시마코스: 기분이 더럽단 것입니다.
소크라테스: 기분이 더럽다는 것은 무엇인가?
트로시마코스: 모르겠습니다.
소크라테스: 그래. 자넨 그래도 낫네. 자네가 모른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
이게 무슨 말장난인가? 말 끝마다 꼬투리에 꼬투리를 잡는 것은 어린아이들이 하는 말투를 연상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은 스스로의 사고를 더 의식화시키며, 정교화하고 발전시도록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건 뭐예요? 그럼 그건 뭐에요? 그게 뭐예요??
4. 첨언
아이를 키워본 적 있는가? (사실 필자는 아이를 키워본 적이 없다..)
어린아이들이 호기심이 생겼을 때, 끝도 없는 질문의 향연을 본 적 있을 것이다.
인간이라는 주체는 본질적으로 현상의 원리를 깨닫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어른이 되어서는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들이 아이 입장에서 당연하지 않으며
궁금증을 유발하기에 너무 좋은 소재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아이가 끝없는 질문을 했을 때,
''그거 원래 그래'', ''뭘 그런 걸 궁금해해'', ''또 쓸데없는 소리 한다.''
와 같이 어른들이 반응해야 하는 것인가?
절대로 아니다.
이는 어린아이, 중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통용된다.
산파: 교사는 학생 자신 안에 배태하고 있는 사고를 낳도록 돕는 것
플라톤은 교사는 산파와 같다고 하였다.
교사는 학생 개개인 안에 심어져 있는 사고를 밖으로 꺼내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임을 강조한다.
교사란 학교 선생님만을 말하는 것일까?
아니다. 우리 사회의 모든 어른이다. 특히 부모일 것이다.
부모와 교사는 하나다. 부모도 배워야 하며 배운 것을 토대로 아이를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그저 귀찮고 모른다는 이유로 아이들의 마음속에 심어져 있는 ''사고''를 밖으로 꺼내주지 못하면,
그 아이는 불행한 아이가 아닐까?
'교육 > 교육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자) 듀이에 대해 알아보자.(feat. 성공적인 교사 조건 4가지) (8) | 2024.10.19 |
---|---|
(교육자) 페스탈로치에 대해 알아보자.(feat. 교사의 역할) (12) | 2024.10.13 |